티스토리 뷰

목차



    2024 한국 대기업 자산 순위 TOP 10 공개…1위 삼성 자산이 ‘이 정도’라고?

     

    한국 경제를 움직이는 거대 기업들의 자산 규모가 공개되었습니다. 삼성의 압도적 1위부터 HD현대·GS 등 ‘숨은 거인’들의 부상까지, 상위 10개 그룹의 총자산이 무려 2조 원을 돌파하는 충격적인 데이터를 분석해드립니다.

    2024 한국 대기업 자산 순위 TOP 10 (단위: 조 원)

     

    순위 기업 자산 총액 주요 계열사
    1 삼성 566.8 삼성전자, 생명, 화재, SDI 등
    2 SK 334.4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텔레콤
    3 현대자동차 281.4 기아, 현대모비스, 현대엔지니어링
    4 LG 177.9 LG전자, 화학, 에너지솔루션
    5 포스코 136.9 포스코홀딩스, 포스코인터내셔널
    6 롯데 129.8 롯데케미칼, 롯데지주, 호텔
    7 한화 112.4 한화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8 HD현대 84.7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HMM
    9 GS 69.0 GS리테일, GS건설, GS칼텍스
    10 현대중공업 66.0 조선·엔진 사업부

    💡 참고: 자산 총액 = 유형자산(공장·설비) + 무형자산(특허·브랜드) + 금융자산

     

    1위 삼성 vs. 2위 SK… ‘반도체 전쟁’이 만들어낸 격차

     

    "삼성 자산이 SK의 1.7배… 반도체·배터리 사업이 키운 차이"

    • 삼성 566.8조 원 (전년比 +9.3%↑)
      •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세계 점유율 45%
      • SDI 배터리 사업 연매출 30조 원 돌파
    • SK 334.4조 원 (전년比 +5.1%↑)
      • SK하이닉스 D램 수익성 ↑
      • SK온 미국 조지아주 2조 원 투자 진행 중

    📌 숨은 승자: 삼성생명 보험료 수입 연 50조 원 (자산 증식의 숨은 동력)

     

    현대자동차, 3위 지킨 비결… ‘전기차·로봇’이 미래다

     

    "자산 281조 원… 미국 조지아 공장 증설로 300조 눈앞"

    • 현대차·기아 전기차 판매 160만 대 (2023년 기준)
    • 현대모비스 자율주행 기술 투자 확대
    • 2026년 완공 예정 美 전기차 전용공장 (5조 원 규모)

    ⚠️ 위기 요인: 중국 BYD의 저가 전기차 공세

    포스코·롯데·한화… ‘2군’ 그룹들의 반격

     

    "포스코, 철강 대신 배터리 재료로 변신 중"

    • 포스코 136.9조 원: 리튬·니켈 사업 확장 → 2030년 양극재 1위 목표
    • 롯데 129.8조 원: 동남아 진출 가속 (인도네시아 화학 공장)
    • 한화 112.4조 원: 우주 사업 본격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위성 발사)

    🌱 주목할 변화: ESG 경영 평가 상승 (탄소중립 설비 투자 확대)

    HD현대·현대중공업 ‘조선 빅3’의 귀환

     

    "조선업 호황에 자산 150조 원 돌파… LNG선 수주 1위"

    • HD현대+현대중공업 합계 150.7조 원
      • 2024년 상반기 LNG선 수주 80억 달러
      • 친환경 선박 기술력으로 유럽 시장 장악

    🚢 이슈: 중국 조선사와의 가격 경쟁력 차이 축소

     

    자산 순위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3가지

     

    1. 주가 변동: 삼성·SK 등 상위권 기업 주식은 코스피 지수 30% 좌우
    2. 일자리 창출: TOP 10 그룹 직접 고용 120만 명 (협력사 포함 400만 명↑)
    3. 국가 신용등급: 대기업 자산 규모가 한국 국가신용도 평가에 반영

    📉 위기론: "10년 내 테슬라·테크주에 순위 교체 가능성" (머스크 트위터 발언)

     

    2025년 예측: 누가 새롭게 TOP 10에 진입할까?

     

    • 카카오: 디지털 자산 확대 (현재 52조 원)
    • 네이버: 클라우드·AI 투자 가속 (현재 48조 원)
    • 셀트리온: 바이오 시장 점유율 ↑ (현재 35조 원)

     암호화폐 기업?: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자산 18조 원 (진입 가능성 0.1%)

    이 순위가 말해주는 3가지

     

    1. 삼성의 독주 체계는 당분간 계속된다 (반도체·배터리 양대 산업)
    2. 전통 제조업 vs. IT 기업의 대결 본격화 (현대차·LG vs. 카카오·네이버)
    3. 자산 100조 원이 ‘신 강소그룹’ 진입 기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