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4 한국 대기업 자산 순위 TOP 10 공개…1위 삼성 자산이 ‘이 정도’라고?
한국 경제를 움직이는 거대 기업들의 자산 규모가 공개되었습니다. 삼성의 압도적 1위부터 HD현대·GS 등 ‘숨은 거인’들의 부상까지, 상위 10개 그룹의 총자산이 무려 2조 원을 돌파하는 충격적인 데이터를 분석해드립니다.
2024 한국 대기업 자산 순위 TOP 10 (단위: 조 원)
순위 | 기업 | 자산 총액 | 주요 계열사 |
1 | 삼성 | 566.8 | 삼성전자, 생명, 화재, SDI 등 |
2 | SK | 334.4 |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텔레콤 |
3 | 현대자동차 | 281.4 | 기아, 현대모비스, 현대엔지니어링 |
4 | LG | 177.9 | LG전자, 화학, 에너지솔루션 |
5 | 포스코 | 136.9 | 포스코홀딩스, 포스코인터내셔널 |
6 | 롯데 | 129.8 | 롯데케미칼, 롯데지주, 호텔 |
7 | 한화 | 112.4 | 한화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8 | HD현대 | 84.7 |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HMM |
9 | GS | 69.0 | GS리테일, GS건설, GS칼텍스 |
10 | 현대중공업 | 66.0 | 조선·엔진 사업부 |
💡 참고: 자산 총액 = 유형자산(공장·설비) + 무형자산(특허·브랜드) + 금융자산
1위 삼성 vs. 2위 SK… ‘반도체 전쟁’이 만들어낸 격차
"삼성 자산이 SK의 1.7배… 반도체·배터리 사업이 키운 차이"
- 삼성 566.8조 원 (전년比 +9.3%↑)
-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세계 점유율 45%
- SDI 배터리 사업 연매출 30조 원 돌파
- SK 334.4조 원 (전년比 +5.1%↑)
- SK하이닉스 D램 수익성 ↑
- SK온 미국 조지아주 2조 원 투자 진행 중
📌 숨은 승자: 삼성생명 보험료 수입 연 50조 원 (자산 증식의 숨은 동력)
현대자동차, 3위 지킨 비결… ‘전기차·로봇’이 미래다
"자산 281조 원… 미국 조지아 공장 증설로 300조 눈앞"
- 현대차·기아 전기차 판매 160만 대 (2023년 기준)
- 현대모비스 자율주행 기술 투자 확대
- 2026년 완공 예정 美 전기차 전용공장 (5조 원 규모)
⚠️ 위기 요인: 중국 BYD의 저가 전기차 공세
포스코·롯데·한화… ‘2군’ 그룹들의 반격
"포스코, 철강 대신 배터리 재료로 변신 중"
- 포스코 136.9조 원: 리튬·니켈 사업 확장 → 2030년 양극재 1위 목표
- 롯데 129.8조 원: 동남아 진출 가속 (인도네시아 화학 공장)
- 한화 112.4조 원: 우주 사업 본격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위성 발사)
🌱 주목할 변화: ESG 경영 평가 상승 (탄소중립 설비 투자 확대)
HD현대·현대중공업 ‘조선 빅3’의 귀환
"조선업 호황에 자산 150조 원 돌파… LNG선 수주 1위"
- HD현대+현대중공업 합계 150.7조 원
- 2024년 상반기 LNG선 수주 80억 달러
- 친환경 선박 기술력으로 유럽 시장 장악
🚢 이슈: 중국 조선사와의 가격 경쟁력 차이 축소
자산 순위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3가지
- 주가 변동: 삼성·SK 등 상위권 기업 주식은 코스피 지수 30% 좌우
- 일자리 창출: TOP 10 그룹 직접 고용 120만 명 (협력사 포함 400만 명↑)
- 국가 신용등급: 대기업 자산 규모가 한국 국가신용도 평가에 반영
📉 위기론: "10년 내 테슬라·테크주에 순위 교체 가능성" (머스크 트위터 발언)
2025년 예측: 누가 새롭게 TOP 10에 진입할까?
- 카카오: 디지털 자산 확대 (현재 52조 원)
- 네이버: 클라우드·AI 투자 가속 (현재 48조 원)
- 셀트리온: 바이오 시장 점유율 ↑ (현재 35조 원)
✨ 암호화폐 기업?: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자산 18조 원 (진입 가능성 0.1%)
이 순위가 말해주는 3가지
- 삼성의 독주 체계는 당분간 계속된다 (반도체·배터리 양대 산업)
- 전통 제조업 vs. IT 기업의 대결 본격화 (현대차·LG vs. 카카오·네이버)
- 자산 100조 원이 ‘신 강소그룹’ 진입 기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