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트럼프의 '약값 파괴 명령'에 인도 제약주 영향, 그 이유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처방약 가격을 최대 80%까지 낮추는 행정명령에 전격 서명하면서, 인도 제약 시장이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특히 미국 의존도가 높은 인도 제약기업들은 이날 주가가 줄줄이 하락하는 등 시장의 불안감이 고스란히 드러났는데요.
    이번 정책이 미국과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인도 제약주가 왜 이렇게 요동쳤는지, 오늘은 그 이슈의 핵심을 블로그 스타일로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

    트럼프의 '최혜국 약가 정책'이란?

     

    이번 행정명령의 핵심은 간단합니다.

    “미국 내 처방약 가격을 다른 고소득 국가 수준까지 낮추겠다.”

     

    이를 위해 트럼프 행정부는 ‘최혜국 가격(Most Favored Nation Pricing)’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즉, 미국이 같은 약을 다른 선진국들보다 더 비싸게 사지 않겠다는 강경한 조치입니다.

    이 정책이 본격 시행되면 미국은 글로벌 최저가에 준하는 약가를 기준으로 삼게 되고, 이에 따라 제약사들의 이익률은 크게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인도 제약주에 미친 직격 영향

     

    인도 제약사들의 미국 의존도

    미국은 인도 의약품 수출의 약 1/3을 차지합니다.
    특히 Sun Pharma, Cipla, Dr. Reddy’s, Lupin 같은 대형 제약사들은 매출의 40~47%를 미국에서 올리는 구조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약값을 강제로 낮추면?
    👉 당연히 이들의 수익성과 주가에 직접적인 타격이 갑니다.

    실제 주가 반응

    트럼프 발표 직후

    • Sun Pharma: 최대 7% 하락
    • Biocon, Lupin, Glenmark, Ajanta Pharma: 일제히 하락
    • Nifty Pharma 지수: 장 초반 약 2% 하락

    그런데, 시간이 흐르자 일부 종목은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 Mankind Pharma, Torrent Pharma, Dr. Reddy’s Labs 등은 2~4% 상승세
    • 이는 국내 시장 중심의 사업 구조가 투자자들에게 방어적 매력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요동쳤을까?

     

    정책 발표 직후 시장이 크게 흔들린 이유는 ‘불확실성’ 때문입니다.

    • 어떤 약에 적용되는가?
    • 제네릭도 포함되나?
    • 브랜드약만 해당되는가?
    • 가격 기준은 어떤 나라의 약가를 따지는가?

    👉 이런 핵심 정보들이 빠진 상태에서 발표만 있었기에, 투자자들이 일단 던지고 본 것이죠.

    인도 제약사의 '불안과 희망'

     

    불안 요소

    • 미국 시장 의존도가 큰 기업일수록 타격이 클 가능성
    • 고가 브랜드 제네릭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은 수익성 악화 우려
    •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향후 더 강해질 수 있음

    희망 요소

    • 제네릭 의약품은 이미 미국 내에서도 저가 경쟁이 치열
    • 인도는 글로벌에서 제네릭 생산의 원가 경쟁력이 가장 뛰어난 국가
    • 미국 내에서도 인도산 의약품은 약가 인하의 핵심 파트너로 인식되며 일정한 협상력이 있음
    • 트럼프 정부는 올 4월, 인도 의약품에 대한 일부 추가 관세 면제를 발표하기도 함

    앞으로 주목해야 할 포인트

     

    1. 정책 세부사항 공개 여부
      • 제네릭까지 포함된다면, 파장은 훨씬 커질 수 있습니다.
    2. 인도 정부의 대응
      • 의약품 수출 전략 조정 및 규제 완화 여부
    3. 미국 대선과 트럼프 정책의 지속성
      • 트럼프의 재선 여부에 따라 정책의 연속성 달라질 수 있음
    4.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경쟁 구도
      • 유럽, 중국, 인도 등 다국적 제약사들의 가격 경쟁력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마무리 정리

     

    도널드 트럼프의 강력한 약가 인하 정책은 인도 제약업계에 일시적인 충격파를 안겼지만, 전체적으로는 정책 방향성에 따라 상승과 하락을 오가는 변동성 장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책의 세부 내용이 공개되고 나면, 미국에 집중된 매출 구조를 가진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의 주가 흐름이 분명히 달라질 것입니다.

    투자자라면 지금이야말로, 기업의 매출 다변화와 내수 기반을 꼼꼼히 따져볼 시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