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급부상: 실리콘밸리를 위협하는 신흥 강자
최근 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실리콘밸리의 빅테크를 위협할 만큼 놀라운 성과를 내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딥시크는 빅테크 연구비의 단 10%를 투자해 고성능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는 메타(옛 페이스북)와 같은 대형 기업들에게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딥시크의 성공 요인, 메타의 대응, 그리고 향후 AI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딥시크의 혁신적인 AI 개발
딥시크는 2023년에 설립된 중국의 AI 스타트업으로, 최근 발표한 추론형 인공지능 ‘알원’(R1)이 큰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알원은 미국 오픈에이아이(AI)가 지난해 9월 출시한 ‘오원’(O1)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2024년 미국 수학경시대회(AIME) 문제 해결 테스트에서 79.8%의 정확도를 기록해 주목받았습니다. 이는 딥시크의 기술력이 단기간 내에 얼마나 빠르게 발전했는지를 보여주는 예입니다.
또한, 딥시크는 거대언어모델(LLM)인 ‘브이쓰리’(V3)를 개발했는데, 이는 메타의 최신 모델인 ‘라마(Llama) 3.1’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습니다. 놀라운 점은 이러한 성과를 달성하는 데 드는 비용이 557만 달러(약 80억 원)에 불과했다는 점입니다. 이는 메타가 최신 AI 기술을 구축하는 데 투자한 비용의 약 10분의 1 수준으로, 딥시크의 효율적인 자원 활용 능력을 입증합니다.
메타의 패니과 빅테크의 위기감
딥시크의 성공은 메타 내부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한 메타 직원은 미국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메타의 생성형 인공지능 조직이 패닉 상태”라고 주장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이는 딥시크의 성과가 메타의 AI 개발 전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얀 르쿤 메타 수석 인공지능 과학자 겸 뉴욕대 교수는 딥시크의 성과를 보며 “중국이 인공지능 분야에서 미국을 앞서고 있다는 적절한 해석은 아니다”며 오픈소스 모델이 독점 모델을 넘어서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딥시크의 성공 요인
딥시크가 빅테크를 위협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 효율적인 자원 활용: 딥시크는 미국의 고성능 GPU 칩 수출 통제에도 불구하고, 저사양 반도체 에이치(H)800을 2000개 활용해 두 달 만에 브이쓰리를 개발했습니다. 이는 제한된 자원으로도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는 효율적인 기술 개발 능력을 보여줍니다.
- 오픈소스 전략: 딥시크는 오픈소스형 인공지능을 개발하여 더 많은 개발자와 연구자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는 협업과 혁신을 촉진하며 빠른 기술 발전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 비용 절감: 딥시크는 높은 성과를 내면서도 비용을 크게 절감했습니다. 이는 스타트업으로서의 유연성과 혁신적인 접근 방식 덕분입니다.
메타의 대응과 투자 계획
딥시크의 부상에 대응하기 위해 메타는 올해 650억 달러(약 93조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인공지능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한 메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줍니다. 메타는 자본적 지출(CAPEX)을 대폭 늘려 AI 연구와 개발에 더욱 집중할 계획입니다.
향후 AI 시장의 전망
딥시크의 성공은 AI 시장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스타트업이 빅테크를 위협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는 점은 글로벌 AI 경쟁 구도를 재편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오픈소스 AI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면서, 협업과 혁신을 통한 기술 발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딥시크의 급부상은 중국 AI 스타트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글로벌 AI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을 예고합니다. 메타와 같은 빅테크 기업들도 이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는 AI 기술의 발전과 혁신을 촉진할 것입니다. 앞으로 AI 시장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그리고 딥시크와 메타가 어떤 전략을 펼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